3차원 정해석 모델을 구성할 때에, 4가지 시공단계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석에 필요한 설정이 같이 정의되며, 시공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의 크기만 정의하면 완성됩니다.
빔스틱 모델에서 기초 모델링 개념
빔스틱 모델은 유체-구조-지반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지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따른 모델로, LNG System 에서는 전체 Pile 을 단일한 Line 으로 이상화 시키는 모델을 생성합니다.
2차원 유출해석의 유용성 검토
유출해석은 유출 시 벽체의 액밀성을 엄밀히 검토하기 위해 철근 배근을 포함하는 3차원 솔리드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지만, 철근 배근 또는 프리스트레스 량을 결정하는 과정에는 해석/검토/수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고려할 때, 2차원 축대칭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Thermal Gap
‘Thermal Gap’ 은 지붕 단열재와 지붕, 벽체와 벽체 단열재, 바닥판과 지반 사이에 적용되며, 속성값은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임의의 값으로 지정됩니다. 속성 정의에 사용되는 인수 값들은 시간이력해석을 하는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경을 써야 하나, 주변의 열에너지에 의한 온도평형 상태에서의 온도분포를 확인하고자 하는 정적 열해석의 경우 콘크리트...
Base Heating 범위 결정
Base heating 은 탱크가 저장하고 있는 유체가 초저온일 때 이 온도가 지반에 전달되어 Frozen heaving 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운용하며, 열해석에서 Base Heating 은 LUSAS Prescribed Temperature 하중으로 정의되며, 아래 그림과 같이 하중이 재하 될 대상 Line 을 지정하여 적용합니다
지반 온도경계 모델링 개념
열해석 모델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지반 온도가 더 이상 변하지 않는 깊이 까지를 모델링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값은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Tank Definition’ 에서 입력하도록 하였습니다.
지진해석 결과 매핑(스틸 탱크)
지진 하중에 대하여 유체-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별도의 지진해석을 수행한 후 해석 결과를 추출하여 3차원 Shell 모델에 결과를 매핑 시킴으로써, 3차원 Shell 모델을 사용하는 다른 구조해석 하중케이스와 지진 하중케이스를 조합할 수 있게 됩니다.
지진해석 결과 매핑(콘크리트 탱크)
지진 하중에 대하여 유체-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별도의 지진해석을 수행한 후 해석 결과를 추출하여 3차원 Shell 모델에 결과를 매핑 시킴으로써, 3차원 Shell 모델을 사용하는 다른 구조해석 하중케이스와 지진 하중케이스를 조합할 수 있게 됩니다.
지진해석 결과 추출
[준비중]
시공단계 수정방법
3차원 정해석 모델을 구성할 때에, 4가지 시공단계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석에 필요한 설정이 같이 정의되며, 시공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의 크기만 정의하면 완성됩니다.